3분 건강정보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

우울증 자가진단과 우울증에 좋은 것과 금기 해야 할 것 우울증 진단법 이전 글은 우울증이 무엇이며 증상,원인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진단 기준과 우울증에 좋은 방법과 금기시 되는 것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음의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동일한 2주일 동안에 나타났고, 예전과 기능 차이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증상이 '우울한 기분' 또는 '흥미 또는 즐거움의 상실'이다. ① 거의 하루 종일 우울증을 보임: 주관적 설명(예: 슬프거나 공허함)이나 타인에 의한 관찰(예: 눈물을 글썽임)에 의해 거의 매일마다 하루 종일 우울한 기분이 보임 ② 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한 관찰로 거의 매일마다 하루 대부분의 활동에서 흥미가 현저하게 감소됨이 나타남 ③ 식이 조절.. 2023. 11. 13.
우울증과 우울증의 원인 우울증이란? 우울증 즉,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울장애는 평생 유병율이 15%, 특히 여자에서는 25% 정도에 이르며,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것은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줍니다.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약함의 표현이거나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상당수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우울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우울감과 삶에 대한 흥미 .. 2023. 11. 13.
불면증 진단과 치료법 & 관리방법 불면증 진단 첫 번째로, 수면장애는 의사와 문진을 통해 자세한 수면 상태를 파악하고 수면의 개시(잠이 드는 것) 수면의 유지(중간에 깨는 문제 즉,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중간에 자주 깨거나 한번 잠을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것) 새벽에 일찍 깨는 문제 또는 잠자는 시간과 상관없이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하는 상태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세한 수면 상태에 대한 기록이 도움이 됩니다. 종종 본인이 느끼는 수면의 상태와 주변 가족들이나 가까운 사람들이 느끼는 환자의 수면에 대한 내용이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주변사람들의 본인의 수면상태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로, 수면에 영향을 주는 수면장애나 심리적인 불안, 우울과 같은 문제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됩니다. 세 .. 2023. 11. 10.
불면증에 대하여 - 불면증 환자가 직접 말하는 이야기 불면증이란? 오늘은 불면증과 불면증의 원인과 불면증 증상때 해야할일 그리고 실제 불면증으로 병원에 다녀온 저의 이야기로 마무르 하겠습니다. 불면증은 전체 인구의 30-48% 정도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질환이며 3개월 이상 증상이 만성적으로 지속되고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감, 집중력장애, 낮졸림증, 감정적인 변화 등 활동에 지장을 경험하는 경우는 전 인구의 10% 내외에 이릅니다. 우리는 일시적인 스트레스나 기분의 변화로 인해 잠이 오지 않는 일을 경험하지만, 불면증상이 반복되면 주의를 기울여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보통 이러한 불면증상을 일주일에 3차례 이상 경험하거나 불면으로 인해 낮 동안의 생활에 방해가 심해진다면, 가까운 병원이나 의원에 내원하여 본인의 증상을 이야기 하고 .. 2023. 11. 10.